
[이전글]
전략/기획 직무 이야기14편: 문서 작성(장표 작성)의 중요성과 작성 팁
[이전글] 전략/기획 직무 이야기13편: 원활한 협업 및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커뮤니케이션 스킬) [이전글] 전략/기획 직무 이야기12편: 논리적 사고 도구 - 로직트리(Logic Tree) 기법 [이전글] 전략/
191207.tistory.com
[글을 들어가며]
이번 전략기획 이야기 15편에서는 문제해결 프로세스와 각 단계별 유용한 기획기법(프레임워크)들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각 툴의 상세내용은 앞으로의 글들에서 자세히 다룰 예정이며, 이번 글에서는 전체적인 개요를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재해결역량은 전략기획 직무자에겐 가장 중요한 핵심 역량 중 하나입니다. 복잡한 이슈를 빠르게 분석하고, 효과적인 솔루션을 제시하여, 솔루션을 실행하여 정확한 퍼포먼스를 내는 것은 팀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조직 전체가 성장 또는 생존하는데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때론 다양한 기술 또는 도구들이 사용되며 이를 통해 보다 문제해결부터 최종까지의 과정이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문제해결 과정와 기획 기법 ]
STEP1. 문제인식
― 개요: 문제의 실질직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문제의 중요성을 정확히 정의하는 단계, 주로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는 도구가 자주 사용
― 역량: 분석작 사고능력(데이터 분석 및 통찰력)
― 기획기법(툴): Fishbone Diagram(어골도), 5Why's 등
STEP2. 문제분석
― 개요: 문제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이러한 문제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단계
― 역량: 시스템적 사고능력
― 기획기법(툴): SWOT 분석, PESTEL 분석 등
STEP3. 솔루션 도출
― 개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솔루션을 도출(리스트 업)하고, 이 중 효과적인 최종안을 선별, 아이디어 생성 도구가 주로 쓰임
― 역량: 창의적 사고능력
― 기획기법(툴): Brainstorming(브레인 스토밍), SCAMPER 등
STEP4. 솔루션 실행
― 개요: 솔루션 실행 계획을 구성하여 팀을 구축하고 성공적으로 솔루션을 실행하는 단계
― 역량: 프로젝트 매니징 스킬, 리더십
― 기획기법(툴): Gantt Chart(간트차트), Project Management Skills(프로젝트 관리 도구) 등
STEP5. 결과 검토
― 개요: 솔루션 실행 결과를 분석하여 효과를 평가하고 개선점을 도출 및 식별하는 단계
― 역량: 평가 능력 및 지속적 개선 의지
― 기획기법(툴): KPIs, Balanced Scorecard 등
[글을 마치며 ]
이번 글에서는 문제해결 프로세스와 각 단계별 필요한 도구들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문제해결과정은 다양한 역량 및 기법을 요구하는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개인적인 역량 및 툴의 활용능력이 요구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기획자로서 이는 조직과 팀을 위한 필수적인 역량이기에 지속적인 학습 및 실천을 통해 역량을 향상시켜야 된다고 개인적으로는 생각합니다. 그럼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다음글 ]
전략/기획 직무 이야기16편: 원인분석도구(Fishbone Diagram(=어골도=피쉬본다이어그램=특성요인도), 5
[이전글] 전략/기획 직무 이야기15편: 문제해결 과정과 기획기법(기획툴, 프레임워크, Fishbone Diagram, 5Why's, S [이전글] 전략/기획 직무 이야기14편: 문서 작성(장표 작성)의 중요성과 작성 팁 [이전글
191207.tistory.com
'직장생활 > 전략기획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략&기획역량 17편: SWOT 분석방법, PESTLE 분석방법 (0) | 2023.06.25 |
---|---|
전략&기획역량16편: 원인분석도구(Fishbone Diagram(=어골도=피쉬본다이어그램=특성요인도), 5WhY) (0) | 2023.06.20 |
전략&기획역량 14편: 문서 작성(장표 작성)의 중요성과 작성 팁 (0) | 2023.05.31 |
전략&기획역량 13편: 원활한 협업 및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커뮤니케이션 스킬) (0) | 2023.05.29 |
전략&기획역량 12편: 논리적 사고 도구 - 로직트리(Logic Tree) 기법 (0) | 2023.05.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