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7

[현업이야기] 전략/기획 직무 이야기 2편(스타트업 취업 장단점, 전략기획프로세스, WBS, 마이크로 매니징, PM) [글을 들어가며] 이전 글에 이어서 계속해서 전략기획 직군에 대하여 현업자들이 주로 이야기하는 다양한 주제들 및 답변들에 대해 작성해 보고자 합니다. 어디까지 작성할지는 모르겠지만 제 개인적으로 최소 수십 가지 이상의 질문들을 체크하고 요약해 보는 것이 목표입니다. 제가 쓰는 내용들은 블라인드 및 리맴버의 전략기획 직군 게시판을 통해 리소스를 확보하여 작성하였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현업이야기] 전략/기획 직무 이야기 1편(KPI, 조직성과, 사업화, 사업 전환률, PM, 기획자) [글을 들어가며] 이번 글에서는 전략기획 직군에 대해 현업자들이 이야기하는 다양한 주제들 및 답변들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사실 이 글을 쓰는 이유는 현재 저는 연구원으로서 일하고 191207.tistory.com [.. 2023. 5. 10.
[현업이야기] 전략/기획 직무 이야기 1편(KPI, 조직성과, 사업화, 사업 전환률, PM, 기획자) [글을 들어가며] 이번 글에서는 전략기획 직군에 대해 현업자들이 이야기하는 다양한 주제들 및 답변들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사실 이 글을 쓰는 이유는 현재 저는 연구원으로서 일하고 있으나 전략기획 업무에 많은 흥미를 느끼고 있고, 평소 여러 커뮤니티와 현업에서 오가는 내용들을 정리하기 위해서입니다. 저 이외에도 전략기획 직군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면서 글 작성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글들은 블라인드, 리맴버의 전략기획 직군 게시판을 통해 데이터를 확보하여 작성하였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전략기획 직군 현업자들의 Q&A] 1. 전략기획 업무의 KPI는 어떤 것이 있을까? - 실제 전략기획 업무를 수행 중인 현업자가 본인의 포트폴리오를 기술할 때 어떤 내용이 정량적으로 .. 2023. 5. 8.
[트리즈(TRIZ)이론] 트리즈 시스템(+MST(Multi Screen Thinking), 시스템 분석, 시스템적 사고) [글을 들어가며] 이번글에서는 트리즈에서 말하는 시스템(System)에 대하여 간단히 작성해 보고자 합니다. 앞선 글에서 자원을 설명할 때 트리즈에서는 시스템을 먼저 정의하고 그 시스템의 상위 시스템 및 하위시스템을 분석하고 각 시스템의 자원을 도출한다고 간단히 언급하였습니다. 시스템적 사고는 일상생활(개인적으로는 부동산 또는 주식 투자)에서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이론입니다. 이번글에서는 트리즈에서 말하는 시스템이란 무엇이며 시스템적인 사고가 무엇인지, 어떻게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지 간단히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리즈에서 말하는 시스템 - 기술 시스템과 시스템적인 사고] 트리즈에서 말하는 시스템이란 "각 특성을 가진 요소들이 모여 상호작용을 하고 하나의 전체적인 목표(또는 기능)를 수행하는.. 2023. 4. 20.
[트리즈(TRIZ)이론] 트리즈 핵심 개념 - 자원(장 자원, 시스템 분석, 자원분석)) [글을 들어가며] 이번글에서는 앞서 언급한 모순(Contradiction), 이상성(Ideality)과 더불어 트리즈의 핵심 개념으로 불리는 자원(Resources)에 대하여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모슨과 이상성이 트리즈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개념이라면, 자원은 그 과정을 책임지는 개념입니다. 자원 분석을 통해 다양한 트리즈 기법들이 사용되고 이를 통해 모순이 이상적으로 해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 자원분석만 완벽하게 하여도 현업에서 발생하는 많이 문제들이 해결됩니다. 일반적으로 자원, 리소스 라고 하면 어떤 의미인지 감이 어느 정도는 오실 거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트리즈에서 자원을 바라보는 시선은 일반적인 시선과는 다르며, 이를 익힐 경우 솔루션에 접근하는 수준 자체가 발전하게 됩니다. 그럼.. 2023. 4. 17.
[회사이야기] 현직자가 느끼는 대기업 복지 [글을 들어가며] 이번 글에서는 현직자로서 느끼는 대기업의 복지들에 대하여 작성해 보고자 합니다. 많은 분들이 대기업의 복지에 대해 궁금해하시며 실제 인터넷을 인터넷을 검색해 보면 대기업 복지들에 대해 많은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바로 와닿는 부분들도 있으며, 때론 근속연수 20년 이상이라는 조건이 달린 조금은 의미 없어 보이는 복지들도 많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가 직접 경험하고 간접적으로 느껴보았던, 일을 하면서 실제로 도움이 된 다양한 복지들에 대하여 작성해 보고자 합니다. 실제 중소기업, 공기업, 대기업을 전부 경험해 보았기에 타기업 대비 좋게 느꼈던 부분들에 대해 작성해 보았습니다. [현직자가 느끼는 대기업 복지] 1. 통근버스 - 서울이 근무지일 경우, 서울 전역, 경기도 전역, 심지어 충.. 2023. 4. 17.
[트리즈(TRIZ)이론] 트리즈의 기본 이론 - 모순과 이상성(물리적모순, 기술적모순) [글을 들어가며] 이번글에서는 트리즈의 가장 핵심이자 기본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모순(Contradiction" 그리고 "이상성(Ideality)"에 대하여 작성해 보고자 합니다. 트리즈 기법의 시작은 모순에서 시작되며, 최종 목표는 이상성을 높이는 것이기에 가장 기본적으로 알아야 되는 이론입니다. 모순은 크게 "물리적 모순"과 "기술적 모순"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트리즈 기법 또는 도구들이 사용되며 최종적으로 "이상성"이 높은 결과물이 도출하는 것이 기본적인 트리즈 기법의 프로세스입니다. 그럼 이러한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모순과 이상성에 대해서 간단히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리즈에서 말하는 모순이란] 일반 적으로 모순이란 말이나 "행동의 앞뒤가 맞지 않음", 또는 "논리가 .. 2023. 4.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