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리즈 Overview]
요약.
1. 트리즈는 20만 개의 특허를 분석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도출 방식을 프로세스화 하였음
2. 트리즈 이론은 기획/개발/생산/PM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함
3. 국제트리즈협회(MATRIZ)를 통해 자격증을 획득할 수 있으며, LV1 ~ LV5까지 있음
4. LV2까지만 취득하여도 현업에 적용하는데 충분
[ 서론. 업무의 프로세스화]
조직 또는 기업이 커질수록 프로세스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프로젝트가 진행됨에 있어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이슈들을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프로세스입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작게는 구매부터 크게는 대형 프로젝트까지 다양한 곳에 적용되어 업무를 보다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 아디이어(솔루션) 도출 방식의 프로세스화 - 트리즈]
그런데 이러한 프로세스가 단순히 업무가 아닌 조금 특별한 곳에 적용되는 사례가 있습니다. 바로 이번글에서 소개할 트리즈입니다. 간단히 트리즈에 대하여 말씀드리면, 이 이론의 창시자인 겐리히 알츠슐러가 약 20만 개의 특허를 분석하고 문제해결을 하는 규칙성(패턴)을 연구하고 정형화시킨 이론입니다.
이 이론을 지금 우리 시대에 적용하여 비유적으로 설명 드리자면, 빅데이터 분석을 진행하여 결과적인 패턴을 정의한 이론입니다. 또한 이 패턴을 통해 획기적인 솔루션을 도출할 수 있도록 그 방식을 프로세스화 시켰습니다. 따라서 트리즈 이론을 배우게 된다면 본인이 직접 생각하지 않아도 프로세스를 따라간다면 자연스럽게 일정 수준 이상의 솔루션을 도 출 할 수 있게 됩니다. (유명한 이론으로는 40가지 발명원리, 기술적 모순, 물리적 모순 도출, FOS(기능지향검색), 76가지 표준해, ARIZ, 시스템 분석, 자원분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트리즈 이론은 개발뿐만 아니라 모든 업무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트리즈는 엔지니어링 영역뿐만 아니라 프로젝트의 모든 부분에 있어 적용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트리즈 공부하기 - 트리즈 자격증]
트리즈 이론은 인터넷에 공개된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무료 강의 또는 자격증을 따기 위한 전문 강의를 통해 다양하게 접할 수 있습니다. 공개된 강의로도 충분히 현업에 적용할 만큼 좋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으며, 자격증을 취득한다면 본인의 전문성이 조금 더 강조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트리즈 자격증은 국제트리즈협회를 통해 취득 가능하며, 국내에서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사이트를 통해 교육을 수료하고 시험을 통과하신다면 자격증을 획득하실 수 있습니다.
국제트리즈협회 한국교육센터 - 국제트리즈협회 한국교육센터
국제트리즈협회 한국교육센터 국제공인 TRIZ 레벨 인증 1~3레벨 자격 과정 온/오프라인 교육을 실시 - 대한민국 TRIZ No.1 교육기관 - 국내외 211개 회사/대학/기관이 선택한 TRIZ 전문 교육 기관. 현직R
mtckr.com
[얼마나 공부해야 하는가? (lv 몇까지?)]
트리즈 자격증은 lv1 ~ lv5까지 있습니다. lv1이 기본이며 lv5가 최고 단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개인적으로 추천드리는 것은 트리즈라는 학문에 깊게 관심을 가지신게 아니라면 LV2까지만 취득하셔도 충분합니다. 트리즈 연구 논문들을 보게 되면 다양한 트리즈 기법들에 대한 실제 적용률에 대해 정리한 자료들이 많이 있으며, 대부분의 기법들은 LV1~LV2에서 배우는 기법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LV3에서 배우는 이론들이 어렵기 때문에 실제 현장 전문가의 부족으로 인한 것도 있습니다.)
[글을 마치며]
이번글은 트리즈의 필요성에 중점을 두고 간단하게 작성해 보았습니다. 저는 트리즈 LV3을 취득하였으며, 현업에서도 이 이론을 종종 사용하고 있습니다. 트리즈가 꼭 해답은 아니지만 다양한 업무에서 획기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으니 한번 관심이 있으시면 공부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트리즈 관련 포스팅]
[트리즈(TRIZ)이론] 기능지향검색(FOS), 챗GPT(ChatGPT), 구글 검색 명령어(구글링)
[글을 들어가며] 이번 글에서는 트리즈 기법 중 현엽에서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기법 중 기능지향검색(FOS, Function Oriented Search)에 작성해 보겠습니다. 기능지향검색은 개방형 혁신을 고려하여
191207.tistory.com
[자기개발] 가장 많이 쓰이는 트리즈 이론(발명원리, 분리원리, 표준해, 트리밍, ARIZ)
[글을 들어가며] 이 글은 성균관대학교 기술경영학과 박영택 교수님, 여형석 박사님, 김중현 박사님이 2017년도 작성한 "트리즈 도구별 활용도 분석: S사의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논문을 참고하여
191207.tistory.com
'기구개발 직무 > TRIZ'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리즈(TRIZ)이론] 트리즈 시스템(+MST(Multi Screen Thinking), 시스템 분석, 시스템적 사고) (0) | 2023.04.20 |
---|---|
[트리즈(TRIZ)이론] 트리즈 핵심 개념 - 자원(장 자원, 시스템 분석, 자원분석)) (2) | 2023.04.17 |
[트리즈(TRIZ)이론] 트리즈의 기본 이론 - 모순과 이상성(물리적모순, 기술적모순) (1) | 2023.04.16 |
[트리즈(TRIZ)이론] 가장 많이 쓰이는 트리즈 이론(발명원리, 분리원리, 표준해, 트리밍, ARIZ) (0) | 2023.04.14 |
[트리즈(TRIZ)이론] 기능지향검색(FOS), 챗GPT(ChatGPT), 구글 검색 명령어(구글링) (0) | 2023.04.13 |
댓글